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백준 2566 자바
- counting sort java
- 백준 과제안내신분 자바
- 백준 행렬덧셈
- Intermediate Device
- 백준 수정렬하기
- 기본수학2
- 백준 25305번 커트라인 자바
- 백준 커트라인
- 백준
- 카운팅배열
- LAN port
- 백준 대표값2 자바
- 백준 2587 자바
- 백준 2738 행렬덧셈
- 백준 최댓값 2566
- 백준 대표값2
- 백준 2750 자바
- 백준 2738 자바
- 자바
- 백준 2587
- 백준 2738
- 백준 25305번 커트라인
- 백준 2738번
- 백준 5597 자바
- 배열
- RFC1918
- 네트워크
- 백준 25305번
- 카운팅배열 자바
- Today
- Total
ddubi
[네트워크 왕기초] 네트워크의 개념 본문
IP 주소, 네트워크의 주소 개념
아이피 주소란 어디에 주어지는 것일까?
네트워크 장비 어디에 아이피주소가 할당되는 것일까?
➜ 네트워크 카드
요즘에는 메인보드에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카드가 자체적으로 장착되어있다. (Onboard)
LAN port로 네트워크 망과 연결되어짐.
아이피는 컴퓨터에 할당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카드에 할당되는 것!
(네트워크 카드 2개인 컴퓨터는 ➜ ip 2개 할당 받음)
네트워크의 개념
네트워크 장비의 분류
네트워크 장비란?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는 모두 퉁쳐서 네트워크 장비이다.
하지만 두개로 나눈다면,
1. END Device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생산, 혹은 소비)
네트워크의 가장 끝에 물려있는 장비 (컴퓨터, 스마트폰, 개인들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장비는 엔드 디바이스이다.)
2. Intermediate Device (데이터의 중간, 데이터를 포워딩)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2개 이상인 것. 어디선가 데이터를 받아서 다른쪽으로 넘기는 것
하나의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비. 네트워크 카드가 여러개 꽂혀져있음.
네트워크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엔지니어들은 Intermediate Device에 대한 유지보수를 전문적으로 하는 인력이다.
네트워크카드 = 인터페이스 = 포트 = 네트워크에 대한 접점
장비가 아이피를 갖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에 대한 접점이 아이피를 할당한다.
IP 주소는 어떻게 할당받는가?
통신이 필요한 장비들은 모두 IP가 필요하다.
사설ip, 기업에서는 외부에 접속이 필요한 공인 ip.
기업같은 경우는 컴퓨터의 IP주소를 어떤 아이피를 사용할지 직접 결정하는데 IP주소에 대한 플랜을 만든다.
어디 부서는 어디부터 어디까지 주소의 범위를 나눈다. 아이피 주소가 얼마나 필요한지 결정한 뒤 그 가용한 범위 주소내에서 필요한 아이피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들한테 ip를 준다.
여기서 아이피를 할당받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아이피 주소를 할당 받는 방법
1.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DHCP,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가정집 공유기에서 아이피 받아오기, 보통 공유기에 DHCP Server 기능이 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는 먼저 DHCP Server를 찾고나서, 자기가 아이피가 필요하다고 알린다.
그러면 DHCP서버가 그 정보를 보고 자기가 가지고 있는 가용한 IP주소에서 할당 가능한 IP를 할당해준다.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은 호스트 IP 구성 관리를 단순화하는 IP 표준이다.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표준에서는 DHCP 서버
ko.wikipedia.org
2. 컴퓨터의 IP주소를 고정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다음 IP 주소 사용' 으로 ip주소, 서브넷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설정을 할 수 있다.
어디까지가 우리 동네인가?
네트워크는 경계가 있다.
우리동네라는 말을 할때 어디까지가 우리 동네인가를 물리적으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면적이라는 개념이 있다. 어떤 땅이 어떤 땅보다 크다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네트워크는 어떻게 경계를 결정하고, 그 크기를 측정할 수 있을까?
네트워크에서는 면적이라는 개념은 없다. 다만 큰 네트워크, 작은 네트워크는 존재한다.
네트워크의 면적 : ip주소의 범위
그 네트워크에 IP의 개수가 얼마나 많으냐? ➜ 많으면 큰 네트워크가 됨
ipv4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 ipconfig에서 중요하게 봐야함
ip주소의 범위는 ip주소와 서브넷마스크의 and 연산임 (여기서 다루진 않음)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가 주어짐으로써 이 컴퓨터는 자기가 살고있는 네트워크의 경계를 알 수 있게 된다.
목적지가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때 중간에 라우터가 있다.
라우터는 이 네트워크와의 접점을 가지고 있게 되는데 그 접점의 ip address가 게이트웨이다.
컴퓨터의 입장에서 목적지가 자기가 살고있는 네트워크가 아니라면 무조건 게이트웨이로 보내게 된다.
주소에 대한 다른 관점
주소란
동네안에서 우리집을 유일하게, 우리나라에서 우리집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
주소는 위치정보가 아니라 뭔가를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주소체계 : 뭔가를 유일하게 구분하기 위해서, 뭔가에 주어지는 어떤 정보로, 중복될 수 없다.
IPv4도 같은 의미의 주소로 식별하기 위한 존재로 생각하면 된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dalcamp&logNo=220426424097
10] 스위치와 라우터연결, 게이트웨이 설정
10] 스위치와 라우터연결, 게이트웨이 설정 이번 포스팅에는 스위치와, 라우터를 연결하고 라우터에 연결된...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ai0416&logNo=221607511806
라우팅(Routing)과 기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뜻과 개념
지금까지 다룬 이야기들을 이해만 하며 따라왔어도 적어도 전문대 한 학기 ~ 1년 정도 그냥 학교만 다닌 학...
blog.naver.com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 ipconfig ip 주소찾기 (0) | 2023.01.23 |
---|---|
[네트워크 왕기초] 네트워크가 뭐지? (0) | 2022.11.30 |
.NET Framework 3.5가 있어야합니다 해결 방법 (0) | 2022.10.07 |